FC 아흐마트 그로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는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어 네프챠닉, 테레크를 거쳐 2017년 아흐마드 카디로프를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2004년 러시아 컵 우승과 러시아 1부 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5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강등된 후 2007년 다시 승격했다. 1990년과 1991년에는 소련 세컨드 리그에 참가했으며, 1994년 체첸 전쟁으로 인해 해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사우스 멜버른 FC
사우스 멜버른 FC는 1959년 창단된 호주의 축구 클럽으로, 그리스계 호주인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으며 내셔널 사커 리그와 빅토리아주 내셔널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우승을 기록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1958년 디나모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극동 지역을 대표하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1, 2부 리그를 오가며 2005년 러시아 2부 리그 우승 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기도 했으나, 지리적 요건과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레스푸블리칸스키 푸트볼니 클럽 아흐마트 그로즈니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Ахмат Грозный) |
체첸어 명칭 | футбольны клуб Ахмат Соьлжа-ГӀала |
창단 | 1946년 |
홈 경기장 | 아흐마트 아레나 |
수용 인원 | 30,597명 |
구단주 | 체첸 공화국 |
회장 | 아흐마트 카디로프 |
감독 | 세르게이 타슈예프 |
리그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16개 팀 중 10위 |
현재 시즌 | 2024–25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시즌 |
웹사이트 |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용품 | |
홈 유니폼 | 녹색 바탕, 흰색 장식 |
원정 유니폼 | 흰색 바탕, 녹색 장식 |
2. 역사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었으나, 1948년에 '네프챠닉', 1958년에 '테레크'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은 몇 번 해산되기도 하였다. 1990년대부터 2007년까지 클럽의 홈경기는 인근의 스타브로폴 지방 퍄티고르스크에서 열렸다. 2004년에는 러시아 컵과 러시아 1부 리그를 동시에 우승하였다. 하지만 1차와 2차 체첸 내전으로 인해 러시아 리그 어디에도 참가할 수 없었다. 2005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했으나 강등되었다. 2007년에 리그 2위로 다시 승격하여 2008시즌엔 프리미어리그에 참여했다. 2017년 6월 7일,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
2. 1. 창단 및 명칭 변경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하여, 1948년 '''네프챠닉''', 1958년 '''테레크'''로 이름을 변경했다.[14] 테레크라는 이름은 코카서스 지방을 흐르는 테레크 강에서 유래했다.[15]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이 해산되기도 하였다. 1994년에 해산되었다가 2001년에 재건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7년까지는 안전 문제로 스타브로폴 지방의 퍄티고르스크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2017년 6월 7일,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15][16]
2. 2. 소련 리그 참가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었으나, 1948년에 '네프챠닉'으로, 1958년에 '테렉'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1990년에 소련 세컨드 리그(2부 리그)에 참가했으며, 1991년에는 리그 5위를 기록했다.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이 몇 번 해산되기도 하였다.[1]2. 3. 체첸 전쟁과 해산
1994년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은 해산되었다.[1] 1차와 2차 체첸 내전으로 러시아 리그 어디에도 참가할 수 없었다.[1]2. 4. 클럽 재건 및 러시아 컵 우승
2001년 클럽이 재건되었다. 2004년 러시아 컵 결승에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를 꺾고 우승했으며, 같은 해 러시아 1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 2004년 UEFA 컵 예선에서 폴란드 팀 레흐 포즈난을 1-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스위스 팀 FC 바젤에 패했다.2. 5. 프리미어 리그 승격과 강등
2005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1년 만에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4] 전년도 러시아 컵 우승으로 2004-05 시즌 UEFA컵 출전권을 얻었으나, 예선을 통과한 후 1차전에서 스위스의 FC 바젤에 패했다.2007년 러시아 1부 리그에서는 42경기 28승 8무 6패로 2위를 기록하며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14]
2. 6. 아흐마트로 팀명 변경
2017년 6월 7일,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15][16]2. 7. 감독 교체 및 최근 역사
2017년 10월 30일, 올레그 코노노프 감독이 사임하고,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후 2017년 12월 14일에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가 아흐마트의 정식 감독으로 발표되었다.[1]2019년 9월 30일, PFC 소치와의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패배한 후, 라시드 라히모프 감독이 사임했다. 같은 날 이고르 샬리모프가 라히모프 감독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2] 2020년 7월 26일, 이고르 샬리모프 감독의 계약이 만료되어 아흐마트 그로즈니를 떠났고, 안드레이 탈랄라예프가 후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3]
2022년 9월 11일,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감독이 해임되었고, 유리 나가이체프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4] 2022년 9월 22일, 세르게이 타슈예프가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새로운 정식 감독으로 발표되었다.[5]
2023-24 시즌 이후, 마고메드 아디예프가 감독으로 부임했다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누락되어 있으나, 요약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내용을 추가해야한다.
2024년 마고메드 아디예프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3. 경기장
1990년대와 2007 시즌 사이에는 이웃한 휴양 도시인 피아티고르스크의 중앙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08 시즌부터는 술탄 빌림하노프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다가, 2011년 5월 20일 아흐마트 아레나가 개장하면서 홈 구장을 이전했다.
3. 1. 아흐마트 아레나

2008 시즌부터 술탄 빌림하노프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르다가, 2011년 5월 20일 아흐마트 아레나가 개장하면서 안지 마하치칼라를 상대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한 이후 현재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30,597석 규모이다.[1]
4. 선수단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선수단은 현재 선수 명단, 임대 선수 명단, 과거 소속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13] 선수들의 국적은 FIFA의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미하일 오파린 | |
2 | DF | 알렉산드르 지로프 | |
4 | DF | 투르팔-알리 이비셰프 | |
5 | DF | 밀로시 샤타라 | |
7 | MF | 베르나르 베리샤 | |
8 | DF | 미로슬라브 보고사바치 | |
10 | MF | 레치 사둘라예프 | |
11 | MF | 이스마엘 실바 | |
13 | MF | 민카일 마추예프 | |
14 | MF | 아민 탈랄 | |
15 | MF | 카밀로 | |
18 | MF | 블라디슬라프 카밀로프 | |
19 | MF | 마우로 루나 디알레 | |
20 | FW | 막심 사모로도프 | |
23 | MF | 안톤 슈베츠 | |
24 | MF | 자임 디바노비치 | |
30 | FW | 펠리페 카르도소 | |
36 | DF | 루카스 로바트 | |
40 | DF | 리즈반 우치예프 | |
47 | MF | 다니일 우트킨 | |
55 | DF | 다르코 토도로비치 | |
71 | MF | 마고메드 야쿠예프 | |
75 | DF | 나데르 간드리 | |
88 | GK | 조르지 셸리야 | |
95 | DF | 아르센 아다모프 | |
98 | MF | 스베토슬라프 코바체프 |
4. 2. 임대 선수 명단
포지션 | 선수 이름 | 임대 구단 | 임대 기간 |
---|---|---|---|
GK | 리즈반 타샤예프 | 소콜 카잔 | 2024년 12월 31일까지 |
DF | 야스민 첼리코비치 | 파네톨리코스 | 2025년 6월 30일까지 |
DF | 블라디슬라프 볼코프 | 볼가르 아스트라한 | 2024년 12월 31일까지 |
4. 3. 과거 소속 선수
선수 이름 | 국적 | 포지션 | 클럽 소속 기간 |
---|---|---|---|
아르센 아다모프 | 러시아 | ||
로만 아다모프 | 러시아 | 2005 | |
막심 보코프 | 러시아 | ||
빅토르 불라토프 | 러시아 | ||
소슬란 자나예프 | 러시아 | 2010-2012 | |
안드레이 페드코프 | 러시아 | ||
데니스 글루샤코프 | 러시아 | ||
올레그 이바노프 | 러시아 | 2012- | |
예브게니 하린 | 러시아 | ||
올레그 코르나우호프 | 러시아 | ||
알렉세이 코솔라포프 | 러시아 | ||
표도르 쿠드랴쇼프 | 러시아 | ||
달레르 쿠자예프 | 러시아 | ||
루슬란 니그마툴린 | 러시아 | 2005-2006 | |
겐나디 니제고로도프 | 러시아 | ||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 러시아 | ||
레치 사둘라예프 | 러시아 | ||
안드레이 세묘노프 | 러시아 | 2014- | |
로만 샤로노프 | 러시아 | 2005-2006 | |
알렉산드르 시르코 | 러시아 | 2005 | |
알렉산드르 슈마르코 | 러시아 | ||
안톤 슈베츠 | 러시아 | ||
올레그 테료킨 | 러시아 | ||
다니일 우트킨 | 러시아 | ||
예브게니 바를라모프 | 러시아 | ||
데니스 예브시코프 | 러시아 | ||
데니스 줍코 | 러시아 | ||
베킴 발라이 | 알바니아 | ||
오디세 로시 | 알바니아 | ||
안드레이 모브시시안 | 아르메니아 | ||
알베르트 사르키시안 | 아르메니아 / 러시아 | 2007 | |
탈란 아흐마도프 | 아제르바이잔 | ||
샤힌 디니예프 | 아제르바이잔 | ||
데니 가이수모프 | 아제르바이잔 | ||
루슬란 이디고프 | 아제르바이잔 | ||
드미트리 크라마렌코 | 아제르바이잔 | ||
루슬란 무사예프 | 아제르바이잔 | ||
카젬르 쿠디예프 | 아제르바이잔 | ||
비다디르 자예프 | 아제르바이잔 | ||
나르비크 시르하예프 | 아제르바이잔 | ||
안톤 아멜첸카 | 벨라루스 | ||
세르게이 아멜리얀추크 | 벨라루스 | ||
일리야 체르냑 | 벨라루스 | ||
울라지미르 카리츠카 | 벨라루스 | ||
안드레이 코발렌코 | 벨라루스 | ||
아르춈 라드코프 | 벨라루스 | ||
조나단 레게어 | 벨기에 | 2011-2013 | |
블라고이 게오르기에프 | 불가리아 | 2009-2012 | |
발렌틴 일리예프 | 불가리아 | ||
마틴 지라네크 | 체코 | 2011-2013 | |
유하니 오야라 | 핀란드 | ||
제에브 하이모비치 | 이스라엘 | ||
바히드 마수도프 | 카자흐스탄 | ||
베르나르 베리샤 | 코소보 | ||
안드레이 마티우라 | 몰도바 | ||
이온 테스테미차누 | 몰도바 | ||
라데 페트로비치 | 몬테네그로 | ||
마르친 코모로프스키 | 폴란드 | ||
표트르 폴차크 | 폴란드 | ||
마체이 리부스 | 폴란드 | 2012-2016 | |
다미안 시만스키 | 폴란드 | ||
게오르게 그로자브 | 루마니아 | ||
안드레이 머거리테스쿠 | 루마니아 | ||
다니엘 판쿠 | 루마니아 | ||
플로렌틴 페트레 | 루마니아 | 2008-2009 | |
가브리엘 토르제 | 루마니아 | 2016- | |
오그네옌 코로만 | 세르비아 | 2005-2007 | |
니콜라 말바샤 | 세르비아 | ||
마르코 스체포비치 | 세르비아 | ||
노르베르트 죄뫼르 | 슬로바키아 | ||
라도슬라프 자바브니크 | 슬로바키아 | 2008-2009 | |
이고르 라지치 | 슬로베니아 | ||
잘렌 포코른 | 슬로베니아 | ||
타메르 투나 | 터키 | ||
안드리 디칸 | 우크라이나 | 2009-2010 | |
막심 레비츠키 | 우크라이나 | ||
볼로디미르 사브첸코 | 우크라이나 | ||
에르베 자비에르 정게 | 부르키나파소 | ||
음본도 아타가나 | 카메룬 | ||
가이 스테판 에사메 | 카메룬 | 2008-2012 | |
제리-크리스티안 추이세 | 카메룬 | ||
아돌프 테이케우 | 카메룬 | ||
에제키엘 은두아셀 | 차드 | ||
제레미 보킬라 | 콩고 민주 공화국 | ||
래리어 킹스턴 | 가나 | ||
이스마일 아이사티 | 모로코 | ||
무사웽고시 무구니 | 짐바브웨 | ||
루크 윌크셔 | 오스트레일리아 | ||
밀라드 모함마디 | 이란 | 2016- | |
블라디미르 바이라모프 | 투르크메니스탄 | 2003 | |
드미트리 호무하 | 투르크메니스탄 | ||
뱌체슬라프 크렌델레프 | 투르크메니스탄 | ||
후안 카를로스 아르세 | 볼리비아 | ||
에베르톤 | 브라질 | 2011-2012 | |
페드루 켄 | 브라질 | 2016- | |
윌커 앙헬 | 베네수엘라 | 2016- | |
안드레스 폰세 | 베네수엘라 | ||
호두푸 | 브라질 | DF | |
자우르베크 플리에프 | 러시아 | DF | |
마고메드 무사로프 | 러시아 | DF | |
미하일 가슈첸코프 | 러시아 | MF | |
자우르 사다예프 | 러시아 | FW | |
할리드 카디로프 | 러시아 | MF | |
이스마엘 | 브라질 | MF | |
라바넬리 | 브라질 | MF | |
예브게니 고로도프 | 러시아 | GK | |
아브라예 므벵 | 세네갈 | FW | |
이드리스 우마예프 | 러시아 | FW | |
알렉산드르 셰플라코프 | 러시아 | GK | |
비탈리 구디예프 | 러시아 | GK | |
리즈반 우치예프 | 러시아 | DF | |
예브제니 할린 | 러시아 | MF | |
아딜 바치예프 | 러시아 | MF | |
레키 사두라예프 | 러시아 | MF | |
마고리드 미트리셰프 | 러시아 | FW | |
조란 니지치 | 크로아티아 | DF | |
알렉산드르 파블렌코 | 러시아 | 2011-2013 | |
알렉산드르 푸르드니코프 | 러시아 | 2009 | |
세르게이 브리즈갈로프 | 러시아 | 2016- |
5. 역대 감독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국적 | 부임 기간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표도로프 | 1968 | ||||||
스미르노프 | 1969 | ||||||
자그레츠키 | 1969 | ||||||
모로조프 | 1971 | ||||||
벨로우소프 | 1972~73 | ||||||
두다예프 | 1976~77 | ||||||
프로로프 | 1979 | ||||||
키리첸코 | 1979 | ||||||
예스코프 | 1981 | ||||||
미케예프 | 1982 | ||||||
L. 셰브첸코 | 1984~85 | ||||||
디야첸코 | 1989~90 | ||||||
아디예프 | 1990 | ||||||
타르하노프 | 1991 | ||||||
알카노프 | 1992~93 | ||||||
미케예프 | 1994 | ||||||
디니예프 | 2001 | ||||||
자이티예프c | 2001 | ||||||
플라토노프 | 2002 | ||||||
미케예프c | 2002 | ||||||
코레시코프 | 2002 | ||||||
탈가예프 | 2003~05 | ||||||
타르하노프c | 2005~06 | ||||||
가이수모프c | 2006 | ||||||
V. 셰브첸코 | 2006 | ||||||
탈가예프 | 2006~07 | ||||||
나자렌코 | 2008 | ||||||
뱌체슬라프 흐로즈니 | 2008년 6월 1일~2009년 10월 20일 | 45 | 14 | 14 | 17 | 31.1% | |
디니예프 | 2009년 10월 20일~2009년 12월 | 5 | 0 | 0 | 5 | 0.0% | |
아나톨리 바이다치니 | 2010년 1월~2011년 12월 | 31 | 8 | 9 | 14 | 25.8% | |
빅토르 무뇨스 | 2010년 12월~2011년 1월 | 0 | 0 | 0 | 0 | 0.0% | |
뤼트 휠릿 | 2011년 1월 18일~2011년 6월 14일 | 13 | 3 | 3 | 7 | 23.1% | |
이사 바예프 | 2011년 6월 15일~2011년 9월 27일 | 14 | 5 | 3 | 6 | 35.7% |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2011년 9월 27일~2013년 5월 26일 | 53 | 24 | 10 | 19 | 45.3% | |
유리 크라스노잔 | 2013년 5월 26일~2017년 10월 28일 | 14 | 1 | 6 | 7 | 7.1% | |
탈가예프 | 2013년 10월 29일~2013년 11월 7일 | 1 | 0 | 0 | 1 | 0.0% | |
라시드 라히모프 | 2013년 11월 7일~2017년 5월 22일 | 113 | 45 | 29 | 39 | 39.8% | |
올레그 코노노프 | 2017년 5월 22일~2017년 10월 30일 | 16 | 5 | 3 | 8 | 31.3% | |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 | 2017년 10월 30일~2017년 12월 14일 | 5 | 2 | 2 | 1 | 40.0% | |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 | 2017년 12월 14일~2018년 4월 7일 | 4 | 0 | 1 | 3 | 0.0% | |
이고르 레디야코프 | 2018년 4월 7일~2018년 9월 2일 | 12 | 5 | 4 | 3 | 41.7% | |
루슬란 이디고프 | 2018년 9월 2일~2018년 9월 5일 | 0 | 0 | 0 | 0 | 0.0% | |
라시드 라히모프 | 2018년 9월 5일[8]~2019년 9월 30일[9] | 38 | 11 | 13 | 14 | 28.9% | |
이고르 샬리모프 | 2019년 9월 30일[9]~2020년 7월 26일[10] | 19 | 5 | 7 | 7 | 26.3% | |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 2020년 7월 26일[10]~2022년 9월 11일[11] | 75 | 31 | 14 | 30 | 41.3% | |
유리 나가이체프 | 2022년 9월 11일[11]~2022년 9월 22일[12] | 2 | 1 | 0 | 1 | 50.0% | |
세르게이 타슈예프 | 2022년 9월 22일[12]~ | 2 | 2 | 0 | 0 | 100.0% |
- c는 임시 감독을 뜻한다.
6. 역대 성적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는 2004년에 러시아 컵과 러시아 1부 리그에서 동시에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19]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러시아 컵 | 1 | 2004 |
러시아 1부 리그 | 1 | 2004 |
다음은 러시아 리그에서의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역대 성적을 나타내는 표이다.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국내 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비고 | |
---|---|---|---|---|---|---|---|---|---|---|---|---|---|
1992 | 1부 (서부) | 5위 | 34 | 18 | 5 | 11 | 63 | 43 | 41 | — | — | ||
1993 | 11위 | 42 | 20 | 4 | 18 | 76 | 63 | 44 | 16강 | — | 강등 | ||
1994 | 2부 (남부) | 21위 | 40 | 7 | 5 | 28 | 22 | 83 | 19 | 32강 | — | ||
1995 | — | 512강 | — | ||||||||||
1995-2001 체첸 전쟁의 영향으로 해산 | |||||||||||||
2001 | 2부 (남부) | 5위 | 38 | 22 | 7 | 9 | 57 | 29 | 73 | — | — | ||
2002 | 1위 | 40 | 36 | 1 | 3 | 98 | 20 | 109 | 128강 | — | |||
2003 | 1부 | 4위 | 42 | 25 | 10 | 7 | 56 | 21 | 85 | 256강 | — | ||
2004 | 1위 | 42 | 32 | 4 | 6 | 70 | 22 | 100 | 우승 | — | 승격 |
2005년부터 2020-21 시즌까지의 기록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