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는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어 네프챠닉, 테레크를 거쳐 2017년 아흐마드 카디로프를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2004년 러시아 컵 우승과 러시아 1부 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5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강등된 후 2007년 다시 승격했다. 1990년과 1991년에는 소련 세컨드 리그에 참가했으며, 1994년 체첸 전쟁으로 인해 해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사우스 멜버른 FC
    사우스 멜버른 FC는 1959년 창단된 호주의 축구 클럽으로, 그리스계 호주인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으며 내셔널 사커 리그와 빅토리아주 내셔널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우승을 기록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1958년 디나모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극동 지역을 대표하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1, 2부 리그를 오가며 2005년 러시아 2부 리그 우승 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기도 했으나, 지리적 요건과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
공식 명칭레스푸블리칸스키 푸트볼니 클럽 아흐마트 그로즈니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Ахмат Грозный)
체첸어 명칭футбольны клуб Ахмат Соьлжа-ГӀала
창단1946년
홈 경기장아흐마트 아레나
수용 인원30,597명
구단주체첸 공화국
회장아흐마트 카디로프
감독세르게이 타슈예프
리그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시즌2023–24
순위16개 팀 중 10위
현재 시즌2024–25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시즌
웹사이트FC 아흐마트 그로즈니 공식 웹사이트
클럽 용품
홈 유니폼녹색 바탕, 흰색 장식
원정 유니폼흰색 바탕, 녹색 장식

2. 역사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었으나, 1948년에 '네프챠닉', 1958년에 '테레크'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은 몇 번 해산되기도 하였다. 1990년대부터 2007년까지 클럽의 홈경기는 인근의 스타브로폴 지방 퍄티고르스크에서 열렸다. 2004년에는 러시아 컵과 러시아 1부 리그를 동시에 우승하였다. 하지만 1차와 2차 체첸 내전으로 인해 러시아 리그 어디에도 참가할 수 없었다. 2005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했으나 강등되었다. 2007년에 리그 2위로 다시 승격하여 2008시즌엔 프리미어리그에 참여했다. 2017년 6월 7일,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

2. 1. 창단 및 명칭 변경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하여, 1948년 '''네프챠닉''', 1958년 '''테레크'''로 이름을 변경했다.[14] 테레크라는 이름은 코카서스 지방을 흐르는 테레크 강에서 유래했다.[15]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이 해산되기도 하였다. 1994년에 해산되었다가 2001년에 재건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7년까지는 안전 문제로 스타브로폴 지방의 퍄티고르스크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17년 6월 7일,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15][16]

2. 2. 소련 리그 참가

1946년 '디나모 그로즈니'로 창단되었으나, 1948년에 '네프챠닉'으로, 1958년에 '테렉'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1990년에 소련 세컨드 리그(2부 리그)에 참가했으며, 1991년에는 리그 5위를 기록했다. 1990년대에는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이 몇 번 해산되기도 하였다.[1]

2. 3. 체첸 전쟁과 해산

1994년 체첸 전쟁으로 인해 클럽은 해산되었다.[1] 1차와 2차 체첸 내전으로 러시아 리그 어디에도 참가할 수 없었다.[1]

2. 4. 클럽 재건 및 러시아 컵 우승

2001년 클럽이 재건되었다. 2004년 러시아 컵 결승에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를 꺾고 우승했으며, 같은 해 러시아 1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 2004년 UEFA 컵 예선에서 폴란드레흐 포즈난을 1-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스위스FC 바젤에 패했다.

2. 5. 프리미어 리그 승격과 강등

2005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1년 만에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4] 전년도 러시아 컵 우승으로 2004-05 시즌 UEFA컵 출전권을 얻었으나, 예선을 통과한 후 1차전에서 스위스FC 바젤에 패했다.

2007년 러시아 1부 리그에서는 42경기 28승 8무 6패로 2위를 기록하며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14]

2. 6. 아흐마트로 팀명 변경

2017년 6월 7일,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명칭을 변경했다.[15][16]

2. 7. 감독 교체 및 최근 역사

2017년 10월 30일, 올레그 코노노프 감독이 사임하고,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후 2017년 12월 14일에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가 아흐마트의 정식 감독으로 발표되었다.[1]

2019년 9월 30일, PFC 소치와의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패배한 후, 라시드 라히모프 감독이 사임했다. 같은 날 이고르 샬리모프가 라히모프 감독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2] 2020년 7월 26일, 이고르 샬리모프 감독의 계약이 만료되어 아흐마트 그로즈니를 떠났고, 안드레이 탈랄라예프가 후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3]

2022년 9월 11일,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감독이 해임되었고, 유리 나가이체프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4] 2022년 9월 22일, 세르게이 타슈예프가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새로운 정식 감독으로 발표되었다.[5]

2023-24 시즌 이후, 마고메드 아디예프가 감독으로 부임했다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누락되어 있으나, 요약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내용을 추가해야한다.

2024년 마고메드 아디예프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3. 경기장

1990년대와 2007 시즌 사이에는 이웃한 휴양 도시인 피아티고르스크의 중앙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08 시즌부터는 술탄 빌림하노프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다가, 2011년 5월 20일 아흐마트 아레나가 개장하면서 홈 구장을 이전했다.

3. 1. 아흐마트 아레나

아흐마트 아레나


2008 시즌부터 술탄 빌림하노프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르다가, 2011년 5월 20일 아흐마트 아레나가 개장하면서 안지 마하치칼라를 상대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한 이후 현재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 아흐마트 카디로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30,597석 규모이다.[1]

4. 선수단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선수단은 현재 선수 명단, 임대 선수 명단, 과거 소속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13] 선수들의 국적은 FIFA의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미하일 오파린
2DF알렉산드르 지로프
4DF투르팔-알리 이비셰프
5DF밀로시 샤타라
7MF베르나르 베리샤
8DF미로슬라브 보고사바치
10MF레치 사둘라예프
11MF이스마엘 실바
13MF민카일 마추예프
14MF아민 탈랄
15MF카밀로
18MF블라디슬라프 카밀로프
19MF마우로 루나 디알레
20FW막심 사모로도프
23MF안톤 슈베츠
24MF자임 디바노비치
30FW펠리페 카르도소
36DF루카스 로바트
40DF리즈반 우치예프
47MF다니일 우트킨
55DF다르코 토도로비치
71MF마고메드 야쿠예프
75DF나데르 간드리
88GK조르지 셸리야
95DF아르센 아다모프
98MF스베토슬라프 코바체프


4. 2. 임대 선수 명단

포지션선수 이름임대 구단임대 기간
GK리즈반 타샤예프소콜 카잔2024년 12월 31일까지
DF야스민 첼리코비치파네톨리코스2025년 6월 30일까지
DF블라디슬라프 볼코프볼가르 아스트라한2024년 12월 31일까지


4. 3. 과거 소속 선수

선수 이름국적포지션클럽 소속 기간
아르센 아다모프 러시아
로만 아다모프 러시아2005
막심 보코프 러시아
빅토르 불라토프 러시아
소슬란 자나예프 러시아2010-2012
안드레이 페드코프 러시아
데니스 글루샤코프 러시아
올레그 이바노프 러시아2012-
예브게니 하린 러시아
올레그 코르나우호프 러시아
알렉세이 코솔라포프 러시아
표도르 쿠드랴쇼프 러시아
달레르 쿠자예프 러시아
루슬란 니그마툴린 러시아2005-2006
겐나디 니제고로도프 러시아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러시아
레치 사둘라예프 러시아
안드레이 세묘노프 러시아2014-
로만 샤로노프 러시아2005-2006
알렉산드르 시르코 러시아2005
알렉산드르 슈마르코 러시아
안톤 슈베츠 러시아
올레그 테료킨 러시아
다니일 우트킨 러시아
예브게니 바를라모프 러시아
데니스 예브시코프 러시아
데니스 줍코 러시아
베킴 발라이 알바니아
오디세 로시 알바니아
안드레이 모브시시안 아르메니아
알베르트 사르키시안 아르메니아 / 러시아2007
탈란 아흐마도프 아제르바이잔
샤힌 디니예프 아제르바이잔
데니 가이수모프 아제르바이잔
루슬란 이디고프 아제르바이잔
드미트리 크라마렌코 아제르바이잔
루슬란 무사예프 아제르바이잔
카젬르 쿠디예프 아제르바이잔
비다디르 자예프 아제르바이잔
나르비크 시르하예프 아제르바이잔
안톤 아멜첸카 벨라루스
세르게이 아멜리얀추크 벨라루스
일리야 체르냑 벨라루스
울라지미르 카리츠카 벨라루스
안드레이 코발렌코 벨라루스
아르춈 라드코프 벨라루스
조나단 레게어 벨기에2011-2013
블라고이 게오르기에프 불가리아2009-2012
발렌틴 일리예프 불가리아
마틴 지라네크 체코2011-2013
유하니 오야라 핀란드
제에브 하이모비치 이스라엘
바히드 마수도프 카자흐스탄
베르나르 베리샤 코소보
안드레이 마티우라 몰도바
이온 테스테미차누 몰도바
라데 페트로비치 몬테네그로
마르친 코모로프스키 폴란드
표트르 폴차크 폴란드
마체이 리부스 폴란드2012-2016
다미안 시만스키 폴란드
게오르게 그로자브 루마니아
안드레이 머거리테스쿠 루마니아
다니엘 판쿠 루마니아
플로렌틴 페트레 루마니아2008-2009
가브리엘 토르제 루마니아2016-
오그네옌 코로만 세르비아2005-2007
니콜라 말바샤 세르비아
마르코 스체포비치 세르비아
노르베르트 죄뫼르 슬로바키아
라도슬라프 자바브니크 슬로바키아2008-2009
이고르 라지치 슬로베니아
잘렌 포코른 슬로베니아
타메르 투나 터키
안드리 디칸 우크라이나2009-2010
막심 레비츠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사브첸코 우크라이나
에르베 자비에르 정게 부르키나파소
음본도 아타가나 카메룬
가이 스테판 에사메 카메룬2008-2012
제리-크리스티안 추이세 카메룬
아돌프 테이케우 카메룬
에제키엘 은두아셀 차드
제레미 보킬라 콩고 민주 공화국
래리어 킹스턴 가나
이스마일 아이사티 모로코
무사웽고시 무구니 짐바브웨
루크 윌크셔 오스트레일리아
밀라드 모함마디 이란2016-
블라디미르 바이라모프 투르크메니스탄2003
드미트리 호무하 투르크메니스탄
뱌체슬라프 크렌델레프 투르크메니스탄
후안 카를로스 아르세 볼리비아
에베르톤 브라질2011-2012
페드루 켄 브라질2016-
윌커 앙헬 베네수엘라2016-
안드레스 폰세 베네수엘라
호두푸 브라질DF
자우르베크 플리에프 러시아DF
마고메드 무사로프 러시아DF
미하일 가슈첸코프 러시아MF
자우르 사다예프 러시아FW
할리드 카디로프 러시아MF
이스마엘 브라질MF
라바넬리 브라질MF
예브게니 고로도프 러시아GK
아브라예 므벵 세네갈FW
이드리스 우마예프 러시아FW
알렉산드르 셰플라코프 러시아GK
비탈리 구디예프 러시아GK
리즈반 우치예프 러시아DF
예브제니 할린 러시아MF
아딜 바치예프 러시아MF
레키 사두라예프 러시아MF
마고리드 미트리셰프 러시아FW
조란 니지치 크로아티아DF
알렉산드르 파블렌코 러시아2011-2013
알렉산드르 푸르드니코프 러시아2009
세르게이 브리즈갈로프 러시아2016-


5. 역대 감독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국적부임 기간경기승률
표도로프1968
스미르노프1969
자그레츠키1969
모로조프1971
벨로우소프1972~73
두다예프1976~77
프로로프1979
키리첸코1979
예스코프1981
미케예프1982
L. 셰브첸코1984~85
디야첸코1989~90
아디예프1990
타르하노프1991
알카노프1992~93
미케예프1994
디니예프2001
자이티예프c2001
플라토노프2002
미케예프c2002
코레시코프2002
탈가예프2003~05
타르하노프c2005~06
가이수모프c2006
V. 셰브첸코2006
탈가예프2006~07
나자렌코2008
뱌체슬라프 흐로즈니2008년 6월 1일~2009년 10월 20일4514141731.1%
디니예프2009년 10월 20일~2009년 12월50050.0%
아나톨리 바이다치니2010년 1월~2011년 12월31891425.8%
빅토르 무뇨스2010년 12월~2011년 1월00000.0%
뤼트 휠릿2011년 1월 18일~2011년 6월 14일1333723.1%
이사 바예프2011년 6월 15일~2011년 9월 27일1453635.7%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2011년 9월 27일~2013년 5월 26일5324101945.3%
유리 크라스노잔2013년 5월 26일~2017년 10월 28일141677.1%
탈가예프2013년 10월 29일~2013년 11월 7일10010.0%
라시드 라히모프2013년 11월 7일~2017년 5월 22일11345293939.8%
올레그 코노노프2017년 5월 22일~2017년 10월 30일1653831.3%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2017년 10월 30일~2017년 12월 14일522140.0%
미하일 갈라크티오노프2017년 12월 14일~2018년 4월 7일40130.0%
이고르 레디야코프2018년 4월 7일~2018년 9월 2일1254341.7%
루슬란 이디고프2018년 9월 2일~2018년 9월 5일00000.0%
라시드 라히모프2018년 9월 5일[8]~2019년 9월 30일[9]3811131428.9%
이고르 샬리모프2019년 9월 30일[9]~2020년 7월 26일[10]1957726.3%
안드레이 탈랄라예프2020년 7월 26일[10]~2022년 9월 11일[11]7531143041.3%
유리 나가이체프2022년 9월 11일[11]~2022년 9월 22일[12]210150.0%
세르게이 타슈예프2022년 9월 22일[12]~2200100.0%


  • c는 임시 감독을 뜻한다.

6. 역대 성적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는 2004년에 러시아 컵과 러시아 1부 리그에서 동시에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19]

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러시아 컵12004
러시아 1부 리그12004



다음은 러시아 리그에서의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역대 성적을 나타내는 표이다.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국내 컵유럽 클럽 대항전비고
19921부 (서부)5위3418511634341
199311위422041876634416강강등
19942부 (남부)21위40752822831932강
1995512강
1995-2001 체첸 전쟁의 영향으로 해산
20012부 (남부)5위382279572973
20021위4036139820109128강
20031부4위4225107562185256강
20041위4232467022100우승승격



2005년부터 2020-21 시즌까지의 기록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소련 리그

(리그)감독19902부 "중앙"134217718515241——Вахит Масудов|바히드 마수도프ru – 13Юрий Дьяченко|유리 디아첸코ru1991542191112554049——Касум-Мухамед-Саид Гиллагаев|카스-모하메드-사이드 길라가예프ru – 11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6. 2. 러시아 리그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국내 컵유럽 클럽 대항전비고
2005프리미어16위305520205014[19]32강UC 1라운드 탈락강등
20061부8위421881648476216강
20072위42286869279032강승격
2008프리미어10위30981328423516강
200912위30961533483316강
201012위30891328343316강
2011–1211위441410204562528강
2012-138위30146103840488강
2013-1412위3089132733338강
2014-159위301071330303732강
2015-167위30111183530448강
2016-175위301461038354816강
2017-189위30109113034395라운드
2018-198위301191029304216강
2019-2013위30710132746318강
2020-2130


6. 3. 유럽 대항전 기록

FC 아흐마트 그로즈니는 2004-05 시즌 UEFA컵에 참가하여 유럽 대항전에 데뷔했다. 2차 예선에서 폴란드의 레흐 포즈난을 홈과 원정에서 각각 1-0으로 꺾고 합계 2-0으로 1라운드에 진출했다.[19] 1라운드에서는 스위스의 바젤을 만나 홈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원정에서 0-2로 패배하여 합계 1-3으로 탈락했다.[19]

시즌대회라운드상대원정합계
2004-05UEFA컵2차 예선 레흐 포즈난1–01–02–0
1라운드 바젤1–10–21–3


7. 수상

대회우승준우승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러시아 1부 리그12004
러시아 컵12003-04
러시아 슈퍼컵12005


참조

[1] 웹사이트 РФК "Терек" Грозный им. А. А. Кадырова http://fc-terek.ru/i[...] 2016-06-15
[2] 웹사이트 У "Терека" появился фарм – клуб в Африке http://fc-terek.ru/i[...] FC Terek Grozny 2010-09-17
[3] 뉴스 Ex-Newcastle and Chelsea manager Ruud Gullit joins Terek Grozny https://www.theguard[...] 2011-01-19
[4] 웹사이트 РФК "Терек" Грозный им. А. А. Кадырова http://fc-terek.ru/i[...] 2016-06-15
[5] 웹사이트 Главная футбольная команда Чече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будет переименована в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17-06-07
[6] 웹사이트 Олег Кононов подал в отставку с поста главного тренера https://twitter.com/[...] FC Akhmat Grozny 2017-10-30
[7] 웹사이트 Михаил Галактионов подписал долгосрочный контракт с ФК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17-12-30
[8] 웹사이트 Рашид Рахимов покидает пост главного тренера футбольного клуба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19-09-30
[9] 웹사이트 Игорь Шалимов возглавит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19-09-30
[10] 웹사이트 Андрей Талалаев назначен главным тренером ФК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21-05-07
[11] 웹사이트 Андрей Талалаев уволен с должности главного тренера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22-10-06
[12] 웹사이트 Сергей Ташуев назначен главным тренером ФК "Ахмат"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22-10-06
[13] 웹사이트 Команда http://fc-akhmat.ru/[...] FC Akhmat Grozny 2022-07-21
[14] 웹사이트 Клуб (История) http://fc-akhmat.ru/[...] РФК «Ахмат» Грозный им. А. А. Кадырова 2017-08-28
[15] 웹사이트 Главная футбольная команда Чече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будет переименована в «АХМАТ» http://fc-akhmat.ru/[...] РФК «Ахмат» Грозный им. А. А. Кадырова 2017-08-28
[16] 웹사이트 РФПЛ подтвердила переименование «Терека» в «Ахмат» http://tass.ru/sport[...] ТАСС 2017-08-28
[17] URL Р.Кадыров передал обязанности Президента ФК «Терек» Магомеду Даудову http://fc-terek.ru/i[...]
[18] URL Кадыров покинул пост президента "Терека" http://lenta.ru/news[...]
[19] 문서 승점6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